[3D프린터운용기능사 필기] SW/HW 설정, 출력용 데이터 확정

2019. 8. 22. 15:04공대남편/3D프린터운용기능사

SW 설정

1. 지지대

  (1) 형상보조물 : 적층바닥과 제품이 떨어져 있을 경우 이를 보조해 주는 지지대(Support)

  (2) 바닥받침대 : 적층바닥과 제품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켜 주는 지지대(Raft 등)

2. 가상 적층 보기

  - 실제로 재료를 적층하기 전에 슬라이싱 소프트웨어를 통해 출력될 모델을 볼 수 있다.

HW 설정

1. 소재 선정

  (1) PLA : 옥수수 전분으로 만든 친환경 재료. 수축이 적다. 경도가 비교적 강하며 쉽게 부러지지 않는다. 표면 광택이 있고 히팅 베드 없이 출력 가능하며, 유해 물질 발생이 적다.

  (2) ABS : 강하고 열에 상대적으로 강한 편이다. 사용 범위가 넓고 비교적 저렴하다. 출력 시 휨현상이 있다. 출력 시 냄새가 나무로 환기가 필요하다.

  (3) 나일론 : 강도가 높은 재질이다. 마모도가 높은 특성의 제품을 제작할 때 주로 쓰인다. 충격 내구성이 강하다.

  (4) PC : 전기 절연성, 치수 안정성이 좋고 내충격성도 뛰어나다. 연속적인 힘을 받는 부품에는 부적당하지만 일회성의 강한 충격을 받는 제품에 주로 쓰인다. 출력 시 냄새가 해로우므로 환기가 필수적이다.

  (5) PVA : 물에 녹아 주로 서포터에 쓰인다.

  (6) HIPS : ABS와 PLA 중간 정도의 강도를 지닌다. 히팅베드에 잘 붙고 리모넨에 녹아 서포토로도 쓰인다.

  (7) 나무 : 톱밥과 수지의 혼합물로 나무와 비슷한 질감을 보인다.

  (8) TPU :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무와 플라스틱의 특성을 고루 갖춘다.

출력용 데이터 확정

1. 출력용 파일의 종류와 특징

  (1) STL : 3차원 데이터의 표면을 삼각형으로 근사시키기 때문에 오차/오류가 생길 수 있다.

  (2) OBJ : 용량이 크고 파일을 내보내고 불러올 때 오랜 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.

2. 오류 검출 프로그램

  - Netfabb, Meshmixer 등이 있으며 오류를 검출하여 수정할 수 있다.

3. 문제점 리스트 작성을 위한 알고리즘